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1. 개요
 오픈 베타 기준으로 설명이 진행되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인 전투력을 어떤 것 부터 올려라는 정답이 없습니다. 다만 '이런 식으로 올리면 어때요?' 정도입니다
 하필 많은 것 중에 B등급 스쿼드를 작성하는 이유는 B등급이 클리어가 가능하면 A등급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는 논점에서 시작했습니다.
 승급은 머릿속에서 아예 제외시키고 진행하는거 입니다.

읽기전 참고하실점. [2019-02-25 밸런스 패치노트 사항]
[철충 스킬 및 능력치 조정]
파훼법이 난해한 철충들의 스킬과 능력치가 조정되었습니다. 해당 철충들은 특정 타입을 무력화하기 쉬워 사령관님들께 지나친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이었습니다. 주로 다음 철충 군이 해당되며, 목록에 없는 철충들도 일부 조정되었습니다. 상세 변경 사항은 게임 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작업은 스테이지 공략이 특정 방법으로만 가능한 불합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전투원 강화 조정]
* 강화에 필요한 경험치가 감소했습니다.
기존의 레벨마다 필요 경험치가 증가하는 구조에서 구간 별로 필요 경험치가 증가하게 변경되었습니다. 최대 강화 레벨 기준 필요 경험치가 58% 감소했습니다.
* 필요 경험치 변경에 따라, 전투원 등급 별로 제공하는 경험치가 조정되었습니다.
B랭크 전투원이 제공하는 경험치가 소폭 증가했지만, A랭크 이상의 전투원이 제공하는 경험치는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 일부 전투원이 제공하는 능력치와 경험치 배율이 조정되었습니다.
경장형 보호기 – HP 75% / 방어력 25% -> HP 50% / 방어력 50%
경장형 지원기 – 공격력 25% / HP 25% / 적중 50% -> HP 50% / 적중 50%
중장형 지원기 – 공격력 50% / HP 50% -> 공격력 75% / 치명 25%
기동형 지원기 – 공격력 25% / 치명 25% / 회피 50% -> 공격력 50% / 회피 50%

2. 적정 전투력과 본인 전투력
 1) 적정 전투력
   게임을 플레이 하시면 지역에 적정 전투력이라고 나오면서 유저들을 멈짓멈짓하게 만듭니다.
   오픈베타 기준으로 B랭크 스쿼드는 파손 피해 없이 클리어 하는 기준최소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정전투력에서 자동전투는 B랭크스쿼드 기준 약 1-1EX기준 약 1.8배의 전투력이 필요하다.)
   1-8,2-8,3-8같은 보스지역은 보스 클리어를 보시면 전투력보다 낮아도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다만 알아두셔야 하는 점이 전투가 끝나고 스쿼드에 '피해가 얼마나 큰가?' 를 봐야합니다.
   팀에 포진되어 있는 바이오 로이드가 하나빼고 다 터저버린경우, 못 깰수도 있다는 점과 하나라도 파손이 된다면 결국 자원 손실이 매우 커 추가적으로 돌기 부담스럽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고민해야하는 부분이고 유저들이 서로 맞대고 토론해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2) 본인 전투력
   전투력에 포함 되는 수치는 아이템,스텟,링크,레벨,스킬레벨입니다.
   스킬레벨은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A랭크 이상은 초반에 높은 전투력으로 가능하다 싶은 지역도 생각보다 드러누워버립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닌 스킬 갯수가 많아져 전투력이 생각보다 높게 측정이 되어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1인 기준의 이야기이고, 5인 기준이면 각정 패시브의 버프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큰 시너지를 얻습니다.
  
3. 본인 전투력 무엇부터 올리는게 맞는 걸까?
 1) 링크와 아이템
   (1) 링크
     링크는 두가지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첫번째, 파밍을 한다. ( 링크 X )
     두번째, 고지역 오토팀을 꾸린다. ( 링크 O )
     오픈베타에 알려진바에 의하면 링크를 했을때, 체력과 전투력이 올라갑니다. 
     공격기들의 체력이 늘어나 방어력과 체력에 굳이 과투자를 하지않아도 한방에 갑자기 캐릭터가 누워버리는 사고를 방지합니다.
     단점으로는 링크시 늘어나는 자원소모의 증가가 있겠습니다.

   (2) 아이템
     2-1B에서 A랭크파츠 (공격력,방어,회피,체력,적중률 칩)이 파밍이 가능합니다.
     제조로 굳이 자원을 최저식으로 A랭크를 먹겠다고 힘을 안쓰셔도 무방합니다.
     제조로 먹어야하는 아이템파츠는 S랭크에서 SS랭크라고 생각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오픈베타 기준으로 아이템 강화시 드는 자원의 양이 압박으로 다가 올 수가 있어서 하신다면 +2까지만 추천드립니다.
     +5를 만들어본 결과 SS칩 노강칩을 뽑아쓰는것과 효율이 비슷합니다.
     아이템의 경우 3가지 분류가 되어 칩, 장비, 벌집(?)인 3개의 장비는 아이템 소켓모양에 따라 들어가는 아이템이 다릅니다.

 2) 강화 포인트(스텟)
   솔직히 제일 애매하고 어렵고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서로 의견이 갈리기도 하며, 아직까지 100%정답이 없는 곳입니다.
   단점으로는 마구 넣었을시 만렙기준 같은 캐릭터여도 차이가 생겨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올리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Ex) 경장 공격기 -> 공격 /명중 올인시 [남아도는 명중으로 고민을 하게 된다.]
 
 3) 스킬 레벨
   제일 중요하고 시간이 필요한 친구입니다. 
   (스킬 레벨이 올라 갈수록 데미지가 올라가는 기반이 많음.)
   캐릭터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최우선이 될 수 있는 사항입니다.
   올리는 방법으로는 일일 전투나 전투를 클리어하면서 얻는 경험치로 반복뺑뺑이가 답입니다.

3. 맺음말
 상대방의 적정전투력은 B등급 기준 최소 중파 안당하는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본인 전투력의 경우 레벨과 스텟, 아이템,링크 뿐만아니라 가지고 있는 전체 스킬레벨에 의해서 전투력이 상승한다.
 링크, 아이템, 강화포인트, 스킬레벨은 본인 전투력 상승에 큰 도움이 되며, 특히 강화포인트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스킬레벨의 경우 스킬 레벨이 높으면 효율이 좋은 캐릭이 있으면 최대한 전투에 많이 대리고 가는 것이 좋다.


:
Posted by 아라가온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