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 오리진] 초보 설명서(1.1.2기준) -2편 탐색,성장그리고 연구란?-
※이번글은 아주 처음 접하는 사람들 위주로 만들어졌으며, 이미 어느정도 게임에 적응한 사람들에게는 크게 추천하지 않습니다.
-목 차-
1. 자원 탐색(자원 수급)
2. 캐릭터(바이오 로이드) 성장방향
3. 연구란?
1. 자원 탐색(자원 수급)
1) 자원 탐색을 하는 방법.
(1) 자원 탐색을 누른다.
(2) 탐색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표시가 된다.
(3) 탐색 조건에 인원, 평균레벨을 맞추어서 보내면 탐색이 가능하다.
Tip. 스쿼드를 무료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아래 업적 두곳이 존재한다.
1-3,1-8을 클리어를 진행한다면 업적 보상으로 스쿼드칸이 최소 3칸으로 확장이 된다.
2)초반 자원탐색은 1-1,1-2를 주력으로 진행해라.
1-1과 1-2를 진행을 하면 자원 탐색을 하면 부족하다는 사람에게 No라고 외치고 싶다.
제조로 자원을 홀라당 다날려서 2000이하인 경우를 제외하고 1-1과 1-2로 자원 파밍을 하면 다른 철충 제거업적과 함께 충분한 자원 수급이 가능하다.
10회가 어려워 보일수도 있지만 1-8까지 클리어한 상태 기준 30분회 3회가 가능하고 1시간에 6회가 가능하다.
그리고 보통 1-3에서 지원스쿼드를 1번맵에 계속 보내면 1-8클리어를 할때쯤 8~9회가 완료되어 업적 보상받기가 가능하다.
추후, 2지역까지 뚫고 참치캔을 받아서 스쿼드를 충분히 늘려서 더욱 많은 스쿼드로 자원을 수급하면 된다.
그리고 1-1,1-2의 경우에 후반부에도 영양이 부족할때 나름 많은 영양을 주기때문에 영양을 급히 파밍할때 나름 갈만한 곳이다.
2. 캐릭터(바이오 로이드) 성장방향
1) 선택
여러분에게는 두가지 선택권이 존재한다.
첫번째, 좋은 캐릭터 or 싼값에 2지역까지 진행후 본인이 원하는 캐릭터 또는 S랭크로 전환을 한다. (S랭크1기 이하)
두번째, 자원소비가 되도 원하는 캐릭터를 키우겠다. (S랭크2기 이상)
솔직히 정답은 없다. 결국 나중에 S랭크 SS랭크캐릭터가 고지역에서 효율을 발휘하기도 하며, 1번의 예외적인 케이스가 S랭크 발리키가 있다고 말하고 싶다.
다만 여러분들이 빠른 성장을 위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렘으로 발키리가 존재하지않으면 1번을 추천하는 바이다.
만약 두번째를 고르신 경우는 2)번내용을 지나치고 3)번 내용으로 넘어가도 무관하다.
2) B랭크 스쿼드 or A,B랭 스쿼드 기준. 성장 방향성. (S랭크 1기이하)
1편을 보셧다 시피 A랭크중에서 추천하는 몇개의 캐릭터가 보였을 것이다.
켈베로스, 미호. 이 둘을 파밍을 하기위해서 여러분에게 B랭크를 키우는것을 권장한다.
초반 추천 캐릭터 (원하는 캐릭이 보호기 또는 공격이에 있는경우 택 -1하시면 됩니다.)
방어기 : 요안나(강력추천), 지니야, 미스 세이프티, 폴른 (택 2)
공격기 : 임펫(추천), 토모, 레프리콘(추천), 워울프 [추가 A랭크 그리폰] (택 3)
추천 이유는 얻기 쉽거나 또는 링크가 가능한 캐릭터로 정해졌다
[요안나, 그리폰, 폴른의 경우 링크는 쉬운편은 아니다.]
[렘파트라는 캐릭이 존재하지만 연구가 진행되야 하며, 보통 게임을 꾸준히 붙잡았다면 2-8 클리어가 가능할 때 제작이 가능해서 제외시킴.]
레빌링 방식 추천
1-7까지 스토리 진행을 한후 추천 캐릭터 파밍을 한다 (무료 지급 캐릭 : 폴른, 요안나, 그리폰 제외)
그후 1-6b에서 평균15레벨까지 레벨업을 한 뒤에 1-8클리어를 추천한다.
요안나 또는 세이프티가 보스를 타격후 도발상태로 본인에게 맞으면 딜러들을 조금 더 지킬 수있다.
1-8 추천 배치
이런 식으로 앞으로 배치해야 요안나 또는 미스 세이프티가 보스를 타격해 최대한 많은 딜러를 살릴 수 있다.
그 후 2-1을 클리어후 2-1b는 무조건 배치를 뒤로 떙기는걸 추천한다.
2-1b는 철충의 사거리가 짧아 맨 뒷열타격이 대부분힘들어 추후 30레벨이 넘어가면 딜러 두캐릭(방어칩 A랭크 1개씩)을 끼고 오토로 자고와도 충분하다. (2-7까지 사용하기 무난하다)
23~24레벨까지 레벨링을 맞춘 후에 1-8에서 미호 파밍을 시작하고, 미호를 1기 먹었을때, 2-5에서 켈베로스 1기먹는 것을 목표로 하고 그 후 다시 1-8로 돌아와 링크용 미호파밍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유. 빨리 먹고 1-8또는 2-5파밍할때, 대리고 레벨링을 진행해야 2-8쫄작 or 거지런이 가능하다.)
중간에 스쿼드 레벨이 30정도 되면 충분히 2지역 보스를 쉽게 넘길 수 있다.
(만약에 켈베로스 파밍, 미호 파밍이 30레벨이전에 끝나고 레벨링에 고민을 하고 있다면 2-7 파밍을 추천한다.)
(수정)
그 후, 미호(공격칩A랭크+2 2개),켈베로스(방어칩A랭크+2 2개)에 2링크가 완료된 경우 2-8 뺑이가 가능합니다.
★중요. 메인 탱커로 키울 캐릭 1기와 메인 딜러 캐릭 1캐릭을 먼저 스텟을 몰아 주셔야합니다.
[첫 2-8 클리어까지는 스텟 초기화 모듈을 생각하시고 진행하시는 편이 맘에 이로울 수 있습니다.]
Ex. 미호 (공,적,치) // 켈베로스(방,생,적)
*딜러의 경우, 2-8쫄을 한방에 잡을 수 있게 최대한 투자를 해야합니다.
*탱커의 경우, 생명력을 높이고 칩을 통한 방어력으로 버텨야 합니다.
*요안나의 경우 다른 캐릭터 80레벨 장비인 방어막 없으시면 수동컨트롤을 해야합니다.
*미스 세이프티는 48레벨이 넘어야 가능합니다.
3)내용을 넘겨도 무관합니다.
3) 자원소비가 되도 원하는 캐릭터(S랭크2기 이상인 경우)
(알렉산드라는 SS랭크지만 이글에 S랭크 2기내용에 마지 않기에 2)를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1-7진행후 1-6b파밍은 위와 똑같습니다. 기본 스텟이 높아서 1-8을 지원기를 제외한경우 평균 14레벨이면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1-8파밍보다 1-6b, 2-1b, 2-7등 웨이브가 최대한 긴 곳에서 파밍을 진행을 해야 자원 소모가 덜하지만, 공격기 2기or 방어히 2기인 경우 아래를 추천합니다.
2-8뻉이가 40레벨이후 안정성 높게 가능합니다. (2공격기 or 2 보호기경우)
둘다 공격기의 경우 2-5에서 켈베로스 파밍 이후 성장시켜 탱커로 키우시는 걸 추천합니다.
반대로 두기가 탱커의 경우에 1-8에서 미호 파밍후 미호랑 같이 도시는 걸 추천합니다.
★중요. 메인 탱커로 키울 캐릭 1기와 메인 딜러 캐릭 1캐릭을 먼저 스텟을 몰아 주셔야합니다.
3. 연구란?
자동 플레이, 자원 수급량 증가, 일일 훈련 오픈, 로봇 설계 오픈, 중제조 오픈, 수복비 감소와 같이 여러가지 유저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올릴 수 있습니다.
연구는 1-3클리어 이후 오픈이 되며, 맨 처음으로 함내 기반 시설을 강화를 해야 모든 연구가 진행이 가능합니다.
처음 연구 탭을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이은 그림으로 상당이 머리가 아플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쉽게 이해를 돕기위해 해야 되는 우선 순위를 작성하겠습니다.
(1) 지휘 대행 시스템 [자동사냥] (최우선 순위)
(2) 자원 재활용 I [10분당 회복 자원율 상승] (2순위)
(3) 시뮬레이팅 시스템 I [일일 훈련 오픈](3순위)
(일반 모듈을 B랭크 분해로 100개를 채워야해서 생각보다 후순위로 두었습니다.
주의점. 다음날 9시까지 게임할 시간이 얼마 없는 경우에는 자원 재활용 I 보다 먼저 시뮬레티이 시스템 I을 올리는게 맞습니다.
Tip.
로봇 제작 설비의 경우 1-5B에서 드론을 획득을 해야지 로봇 2기이상 획득으로 인정됩니다.
정밀 레이더 시스템은 자원탐색시 운송 드론(자원량 %증가), 탐사 구역 분석실(탐사시 아이템 획득률 증가)을 찍기위해 필요합니다.
S랭크 이상을 많이 키울시 중장비 제작 이후 수복실 개량 I 정도는 추천합니다.